생활 정보

"인류가 처음 목격한 '올로(Olo)' 색상의 비밀"

Think² 2025. 4. 23. 16:46
반응형
SMALL

 

 

인간이 전에 본 적 없는 새로운 색상 '올로(Olo)' 발견
과학자들의 놀라운 연구 결과

인간의 눈을 넘어선 새로운 색상, '올로'.
과학자들은 어떻게 우리가 볼 수 없었던 색상을 발견했을까요? 이 포스트에서 과학적 배경, 실험 방법, 그리고 이 연구의 의미와 한계를 자세히 소개합니다.

서론: 인간의 시각을 넘어선 새로운 색상 세계

새로운 색상 올로(Olo)

우리가 알고 있는 무지개의 색상들 외에도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색상이 존재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025년, 과학자들은 ‘전례 없는 채도의 청록색’을 비롯하여 '올로(Olo)'라는, 인간이 자연적으로는 절대 볼 수 없는 신비로운 색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색상 인식의 근본적인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는 혁신적인 시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인간의 색상 인식 메커니즘

인간의 눈에는 빛을 감지하는 세 가지 원뿔세포(Cones)가 존재합니다. 각각은 서로 다른 빛의 파장을 감지하는데, 이를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다양한 색상이 만들어집니다.

  • L 원뿔세포: 장파장(빨간색) 감지
  • M 원뿔세포: 중파장(초록색) 감지
  • S 원뿔세포: 단파장(파란색) 감지
원뿔세포 색상 감지 그래프

자연 조건에서는 M 원뿔세포만 선택적으로 자극하는 빛의 파장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가 인식하는 색상 스펙트럼은 제한적이며, 감각의 경계를 넘는 색은 이론적으로만 존재했습니다.

'Oz 프로토타입': 새로운 색상을 볼 수 있게 하는 기술

'Oz 프로토타입'은 초록색 레이저를 사용해 일부 원뿔세포만을 직접 자극하는 혁신적인 방식으로, 인간의 시각 체계에 새로운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 기술을 통해 참가자들은 기존의 빨강, 초록, 파랑으로 표현할 수 없는 완전히 새로운 색상의 감각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Oz 기기는 자연 상태에서는 불가능한 색상의 뇌 신호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냈고, 참가자 모두는 이를 일상에서 한 번도 본 적 없는 색상이라고 증언했습니다.”

연구를 주도한 James Fong 교수 팀은 이 색을 "올로(Olo)"라 명명했습니다.

연구의 의미와 한계

과학자들은 올로를 포함한 '인간의 색역을 넘어선 무지개'를 영상이나 이미지로 경험할 수 있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 발견이 진정으로 새로운 색상의 창조인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색상 인지의 밝기, 참가자의 시야 위치, 그리고 실제로 명확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는 주변부 원뿔세포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런던대 John Barbur 교수는 “이런 신호는 기존 색상의 강도를 강화시킬 뿐, 완전히 새로운 색을 볼 수 있다는 결정적 증거는 더 많은 실험으로 보완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미래 전망: Oz 프로토타입의 잠재력

이 연구는 세포 수준에서 망막 신경회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색맹 등 시각장애 치료 분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저자들은 Oz 프로토타입이 향후 인간 감각 세계를 확장하는 실험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이어갈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결론

인간의 시각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과학의 도전은 우리의 인식 세계가 얼마나 제한적인지 일깨워줍니다. 이번 올로 색상 발견은 비록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색상 지각의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고, 시각 시스템의 신비를 한 단계 더 밝혀줄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인간의 감각과 인지에 대한 연구가 미래에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참고 및 출처

반응형
LIST